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종원 갑질 의혹 총정리와 더본코리아 주가 전망: 방송 논란, 사업 성장, 미래 전략 분석

by 빵뷰 2025. 5. 8.
반응형

1993년 쌈밥집 개업 당시 백종원대표의 모습(좌)와 대패삼겹살 메뉴판(우) / 출처 : 더본코리아

백종원 방송 갑질 의혹과 더본코리아의 현황, 그리고 전망

최근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방송 갑질 의혹과 각종 논란에 휩싸이며, 모든 방송 활동을 중단하고 경영에 집중하겠다고 공식 선언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갑질 의혹의 구체적 내용, 백종원의 성공 스토리, 더본코리아의 사업 시작과 성장, 최근의 구설수와 의혹, 그리고 상장 이후 주가 변동과 향후 전망까지 심층적으로 정리합니다.

1. 백종원 방송 갑질 의혹의 내용

2025년 5월, MBC 출신 김재환 PD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백종원이 방송 현장에서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방송 갑질'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백종원이 프로그램 제작진 구성에 직접적으로 개입하고, 자신이 원하는 출연진을 섭외하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인물은 하차시키는 등 방송사에 무리한 요구를 했다는 주장입니다. 또한, 제작진에게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다는 증언도 나왔습니다.

이와 관련해 백종원은 직접 김재환 PD를 만나 억울함을 호소하며, "방송 갑질한 적 없다. 출연자를 전화로 자른 적도 없고, 내가 어떻게 자르냐?"고 반박했습니다. 하지만 논란이 커지자 "좋은 방송 콘텐츠를 만들려던 과정에서 누군가에게 상처를 줬다면 내 책임이고 불찰"이라며 공식 사과하고, 모든 방송 활동을 중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백종원 "갑질폭로" PD 만났다 기사 바로가기 ★

2. 백종원이 유명해진 계기

백종원은 1993년 '원조쌈밥집'을 인수하며 요식업에 뛰어들었고, 1994년 더본코리아를 설립했습니다. 이후 한신포차, 새마을식당, 빽다방 등 다양한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론칭하며 외식업계에서 입지를 다졌습니다.

방송인으로서의 백종원은 《마이 리틀 텔레비전》을 통해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고, 《집밥 백선생》, 《삼대천왕》, 《골목식당》 등 음식 관련 예능 프로그램에서 전문성과 진정성을 인정받으며 '국민 음식전문가'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특히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돕는 멘토 이미지로 신뢰를 쌓았습니다.

3. 더본코리아 사업 시작과 성장

  • 1993년: 서울 논현동에서 '원조쌈밥집' 인수로 외식업 시작.
  • 1994년: 더본코리아 설립.
  • 이후: 한신포차, 새마을식당, 빽다방 등 프랜차이즈 브랜드 확장, 2020년대 들어 1,400여 개 매장, 연 매출 1,800억 원 규모로 성장.
  • 2023년: 더본코리아 코스피 상장.

4. 최근 의혹과 구설수

더본코리아와 백종원은 2024~2025년 동안 다양한 논란에 직면했습니다.

  • 방송 갑질 의혹: 제작진 구성 및 출연진 섭외에 부당 개입, 방송 현장 내 영향력 행사.
  • 식품 품질 및 위생 논란: 빽햄 품질 논란, 원산지 표기 오류, 산업용 금속 조리기구 사용 의혹, 농약통 주스 사용 논란 등.
  • 가맹점 관리 부실: 일부 가맹점주 피해 주장, 집단 소송 가능성 제기.
  • 임직원 관련 논란: 술자리 면접 강요, 직원 블랙리스트 의혹 등.
  • 형사 입건: 원산지 표시 위반, 허위 광고 등으로 세 차례 형사 입건.

이러한 논란은 백종원이 직접 세 차례 대국민 사과를 하고, 모든 방송 활동을 중단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백종원 "모든 방송활동 중단 선언" 바로 가기

5. 더본코리아 상장 이후 주가 변동

2025년 5월 8일 현재 주가 현황

 

더본코리아는 2023년 11월 6일 코스피에 상장했습니다.

구분가격(원)비고
공모가 34,000  
상장 첫날 최고가 64,500 장중 90% 상승
상장 첫날 종가 51,400  
2025년 2월 최저가 29,000 3개월 만에 72% 하락
2025년 5월 현재 약 26,000~32,000 공모가 대비 20~25% 하락
 

상장 직후 단기 급등했지만, 이후 빽햄 품질 논란, 원산지 표시 위반, 각종 구설수와 형사 입건 등 악재가 이어지며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2025년 5월 현재 주가는 상장일 최고가 대비 60% 이상 하락, 공모가도 밑돌고 있습니다.

더본코리아는 유통 주식 수가 적어 외부 세력 개입에 따른 주가 변동성이 크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보호예수 해제 시 추가 하락 위험도 존재합니다.

6. 앞으로 더본코리아는 어떻게 될까? (전망)

더본코리아 주가 현황 바로가기

  • 단기적으로: 백종원의 방송 중단 선언과 경영 집중, 조직 쇄신, 품질·위생 강화 등 신뢰 회복 노력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 주가 전망: 실적 성장(2025년 매출 5,000억 원, 영업이익 400억 원대 전망)에도 불구하고, 오너리스크와 브랜드 이미지 훼손이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호예수 해제, 추가 악재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성도 클 것으로 보입니다.
  • 중장기적으로: 내실 경영, 글로벌 진출, 브랜드 관리 강화 등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주가 반등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로선 투자 리스크가 높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정리

백종원과 더본코리아는 한때 성공 신화의 상징이었으나, 최근 방송 갑질 의혹과 각종 논란, 주가 급락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백종원 대표는 모든 방송 활동을 중단하고 경영에 집중하겠다고 선언했으며, 더본코리아는 신뢰 회복과 내실 경영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주가 역시 단기적 반등보다는 변동성과 리스크가 큰 구간에 머물 것으로 전망됩니다.

 

※ 주식 투자는 전문가와의 상담과 함께 손실에 대한 리스크를 항상 유념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